top of page

왕징웨이 난징국민정부의 훈장 -② 훈장(勳章) - 동광훈장 (同光勳章)

데헷쟝

훈장목록표
1943년 2월 25일 왕징웨이의 난징국민정부는 중앙정치회의에서 난징국민정부의 훈장을 제안했고, 이것이 3월 3일 행정원 회의를 통과함에 따라 동광훈장(同光勳章)이 제정되었다. 동광훈장은 난징국민정부의 최고 훈장으로, 특급(特級)에서 9급까지 있었다.

동광훈장은 착용시 다른 기념장보다 그 성격이 높은 만큼 가장 오른쪽에 패용해야 하며, 동광훈장의 왼쪽으로 다른 훈장들을 패용하게 했다. (종류가 다르거나 등의 이유로 호환되지 않는다면 분류해서 패용)


주요 수요자 목록을 보면 익숙한 이들의 이름을 많이 찾을 수 있는데, 왕징웨이 측 인사들과 일본측 인사 대다수의 이름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왕징웨이가 자신의 글에서 여러번 언급했던 쩡중밍의 경우, 1급 동광훈장을 사후수여받았다. 그외에도  왕징웨이의 부인이었던 천비쥔, 우리에게는 《 색. 계 》로 유명한 딩모춘도 1급동광훈장을 수여받았다.


[ 왕징웨이가 쩡중밍에 대해 쓴글은 여기를 클릭 : ]




특급동광훈장을 착용하고 있는 도조 히데키. (사진 오른쪽 가슴쪽의 훈장중 가장 오른쪽 아래있는 훈장이 특급동광훈장).
특급동광훈장을 착용하고 있는 도조 히데키. (사진 오른쪽 가슴쪽의 훈장중 가장 오른쪽 아래있는 훈장이 특급동광훈장).

특급의 경우 난징국민정부 수립에 깊게 관여한 이나 이에 협력 & 기여한 이들에게 수여되었다. 외국인의 경우 국가원수나 원수급 고위 군인들에게 수여되었다. (물론 나중에가면 이 원칙은 무너지긴 한다)


이 특급동광훈장의 경우 저우포하이, 천궁보, 중화민국 임시정부의 수장이었던 왕커민, 유신정부의 수장이었던 량홍즈등 왕징웨이의 측근 & 도조 히데키, 아베 주일대사를 비롯한 일본 측근이 수여받았지만, 왕징웨이 본인은 이 특급동광훈장을 자신에게 수여하지 않았다는 점이 흥미로운 점이라고 할 수 있다.


주목해 볼만한 수여자는 야마모토 이소로쿠로, 1943년 4월 18일 연합군의 공격으로 사망하자, 왕징웨이의 난징국민정부는 1943년 5월 24일 야마모토에게 특급동광훈장을 수여했다. (야마모토의 사후 나치 독일의 철십자 훈장 수여를 제외한 타국의 훈장 수여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현재 동광훈장의 실물은 상위급의 일부만 온전하게 전해지는데, 이는 상위급 훈장 수여자의 거의 절반에 가까운 이들이 일본인이었고, 이들은 전쟁이 끝난 후에도 훈장을 보존할 수 있었으나 수여받은 중국인의 경우 극소수를 빼면 이 '한간'의 훈장을 은닉 & 폐기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현재는 소수만이 전해진다.


특히 등급이 낮은 하급 동광훈장은 수여자 대다수가 일본인이 아닌 실제 왕징웨이의 국민정부에서 일했던 중국인들이었던 만큼 전후 왕징웨이 정권에서 일하는 것이 비판받는 시대가 되면서 생존을 위해 이러한 훈장을 폐기해버림에 따라 아주 적은 수가 전해진다. 때문에 동광훈장의 경우 하급훈장이 오히려 상급훈장보다 더 전해져 오는 수가 적은 편이다.


이렇게 동광훈장은 1944년 11월 왕징웨이가 사망하면서 왕징웨이의 서명이 적힌 수여서를 제공했던 동광훈장은 새로이 2000장의 수여서를 제작 (천궁보의 이름을 사용) 하여 계속 수여를 하였으나 1945년 4월 말부터는 자원 부족등의 이유로 수여작업이 중단되었고, 그 이후 왕징웨이 국민정부가 해체될 때까지 수여작업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동광훈장은 왕징웨이 국민정부의 해체되기 31,051명에게 수여되었다. 하지만 수여자 명단과 다르게 이러한 훈장의 수여를 모욕으로 인식하는 등 여러 이유로 실제로 수여된 훈장의 수는 그보다는 적은 것으로 추정된다.



Comments


데헷넷45신중7.png

연락하기

아주 킹아

데헷넷25-3-1.png
데헷넷45신중8.png
데헷넷45신중9.png
저조구락부
  • Instagram
  • Facebook

© 2014~2023 데헷이 All Rights Reserved.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