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연재] 대동아회의 회의록 - ⑭ 회의 종료후 각국 대표들의 성명 발표 (1943.11.6)

* [연재] 대동아회의 회의록은 1943년 작성된 대동아회의의사속기록(大東亞會議議事速記錄, 1943) 을 중심으로 하여 아시아는 하나다 (アジアは一つなり, 1943) 을 비롯한 당대 작성된 대동아회의의 회의내용을 다루는 서적들을 번역하여 대동아회의의 회의록을 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잘 부탁드립니다.
표지.
대동아회의 회의록 (大東亞會議會議錄) (1943.11.5~11.6)

(각 항목을 클릭하면 해당 부분을 볼 수 있습니다)

[회의 개최전 정보]

0. 대동아정략지도요강 (1943.5.29)

0. 대동아회의에 관한 건 (1943.10.2)

0. 준비위원회의 구성 (1943.10.21)

0. 대동아회의 회의장 도면

0. 대동아회의 참가자 명단 및 대동아회의 사무국 구성 (1943.11)

[회의 1일차](1943.11.5)

1. 대동아회의 개최와 도조 히데키 (일본) 의 연설

2. 왕징웨이 (중화민국 난징국민정부) 의 연설

3. 완 와이타이콘 (타이왕국) 의 연설

4. 장징후이 (만주국) 의 연설

5. 호세 라우렐 (필리핀) 의 연설

6. 바모 (버마국) 의 연설

[회의 2일차](1943.11.6)

7. 대동아공동선언에 대한 제안 및 각국대표들의 의견

8. 장징후이 (만주국) 의 추가 의견

9. 바모 (버마국) 의 추가 의견 (자유인도임시정부에 대한 옹호연설)

10. 찬드라 보스 (자유인도임시정부) 의 연설

11. 도조 히데키 (일본) 의 안다만-니코바르 제도 양도 연설

12. 도조 히데키 (일본) 의 폐회사

13. 왕징웨이 (중화민국 난징국민정부) 의 폐회사

14. 회의 종료후 각국 대표들의 성명 발표

[3일차] (1943.11.7)

15. 왕징웨이의 기자들간의 담화

16. 호세 라우렐과 기자들간의 담화

17. 바모와 기자들간의 담화

18. 장징후이와 기자들간의 담화

19. 완 와이타이콘과 기자들간의 담화

[대동아결집국민대회 (大東亞結集國民大會)](1943.11.7)

20. 도조 히데키 (일본) 의 연설

21. 왕징웨이 (중화민국 난징국민정부) 의 연설

22. 완 와이타이콘 (타이왕국) 의 연설

23. 장징후이 (만주국) 의 연설

24. 호세 라우렐 (필리핀) 의 연설

25. 바모 (버마국) 의 연설

26. 찬드라 보스 (자유인도임시정부) 의 연설

[부록]

27. 대동아공동선언 전문

28.각국 대표의 소견 발표

29. 왕징웨이 (중화민국 난징국민정부) 의 회의후 감상 / 회견 / 기념방송

30. 대동아회의 일정표

     

대동아회의 회의장 사진.
1943년 11월 6일 오후 3시 17분, 이틀간 진행되었던 대동아회의는 종료되었다. 대동아회의가 종료된 후 회의에 참가했던 각국 대표는 회의장을 나오며 기자들에게 가벼운 소감에 가까운 성명을 발표했다.
회의 종료후 각국 대표들의 성명 발표
(1943.11.6) 

왕징웨이의 성명

     

대동아전쟁이 개시되고 동아에서 영미 양국의 세력은 처음으로 붕괴를 고하게 되었고, 그들의 침략과 착취 기도는 완전히 일본에 의해 소멸되었습니다. 이러한 일본의 동아를 보장하는 공적에 대해 대동아 여러 민족은 감사를 표할 따름입니다. 하지만 일본은 여기에서 그치지 않고, 일방적 침략과 착취의 시대를 공존과 공영의 시대로 바꾸고 동아 각민족이 각자의 자주독립을 이루고 서로가 서로의 자주독립을 존중하고 문화에 있어서는 창조력과 조화력을 발전시키고 경제에 있어서는 호혜를 실행하여 장단상보(長短相補), 유무상통(有無相通) 하게 했습니다.

     

이는 동양이 본래 가지고 있던 도의적 정신으로, 서양의 공리적인 견해와는 완전히 다른 것입니다. 선진국인 일본은 최대의 역량을 발휘하여 동아를 보장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를 비롯한 신흥국가로써 부흥을 도모하는 국가는 각각의 전력을 다하여 대동아전쟁을 완수하고 대동아공영권 건설 완성의 책임을 분담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바입니다.

     

     

완 와이타이콘의 성명

     

저는 약 3년전 타이 왕국 –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간의 국경 확정회의를 위하여 일본을 방문한적이 있습니다. 프랑스령 인도차이나와의 영토문제는 일본정부의 중계로 정당하게 완만히 해결될 수 있었습니다. 이렇듯 일본은 대동아 지역에 있어서 평화와 안정에 대한 열의를 가지고 정의가 행해지기를 요구해왔습니다. 그리고 그러한 희망은 이번 기회에 현실이 되었습니다.

     

대동아전쟁의 발발과 함께 타이 왕국은 곧바로 일본의 동맹국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일본은 이번에 관대하게도 타이 왕국이 영국에 의해 빼앗긴 북부 말라이의 4주와 샨 지방의 2주의 타이 왕국 편입을 승인했습니다. 그리고 일본은 타이 왕국에 보여주었던 것과 같은 친선 행위를 다른 대동아 국가들에게도 보여주었습니다.

     

이번에 도쿄에서 열리게 된 대동아회의는 공영권의 건설과 친선을 나타내는 구체적인 증거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본 회의는 유례없는 대성공을 거두었습니다. 이번 회의의 결과로 발표된 대동아공동선언은 대동아 및 전 세계 역사의 신기원을 긋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제 우리는 일본의 더욱 친밀한 벗이 되어 고국으로 돌아가게 됩니다. 귀국 후에는 반드시 타이 왕국 국민들에게 일본 국민이 이 전쟁을 이겨내겠다는 굳은 결의를 가지고 있음을 전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타이 왕국은 일본 국민에 대한 최고의 경의를 표하며 동시에 최대의 협력을 할것임을 밝히는 바입니다.

     

장징후이의 성명

동아 각국이 역사상의 한 획을 긋게 되는 이번 대동아회의를 개최할 수 있게 된 것은 천황 폐하의 위세 아래 충렬한 일본 육해군 장병들이 용전하고 일본의 소위 살신성인(殺身成仁) 하는 숭고한 정신과 이를 행하기 위한 실천력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에 충심으로 감사를 표하는 바입니다.

     

지금 세계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치열하고 심각한 결전의 장에 있습니다. 하지만 지대문박(地大物博)의 동아와 서양의 추축국이 융연(融然)하게 화합하여 혼연일체가 된다면 어떠한 틈도 생기지 않고 필승불패의 신념을 더욱 양양하여 당당한 총진군을 이루어 승리의 영광이 우리 앞에 있게 될것임을 저는 확실히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호세 라우렐의 성명

     

대동아 각국 및 각국 국민은 스스로를 보위하고 또한 세계의 평화 진전을 위해 이제 강고하게 하나가 되었습니다. 우리들은 열렬한 신념과 감위의 정신에 불타 수많은 문명을 낳아온 우리들의 조상을 생각하며 다시 한번 숨겨진 그 힘의 근원을 찾아 지혜와 경험의 무한한 저력 속에서 우리들의 생활을 개조하고 우리들의 동양에 인종적, 문화적, 경제적 패권을 형성하고 동양의 창조적 정신을 발휘하기를 바라는 바입니다.


(이후 각국 대표들은 신주쿠의 신주쿠교엔(新宿御苑) 을 방문하였다. (이 방문에는 다카마쓰노미야 노부히토 친왕 (高松宮宣仁親王), 도조 히데키 총리대신, 기도 고이치 (木戶幸一) 내대신부, 마츠다이라 츠네오 (松平恆雄) 궁내대신, 시마다 시게다로(嶋田繁太郎) 해군대신, 시게미츠 마모루 (重光葵) 외무대신, 아오키 가즈오 (青木一男) 대동아대신 등이 참가 했다)  신주쿠교엔에서 각국 대표와 일본 정부측 인사들은 쇼텐페이(翔天亭) 앞 피어있는 국화를 감상하며 4시 다과회를 가졌다. 이후 오후 6시, 총리 관저에서 개최된 만찬회에 참가하며 6일의 일정은 끝이났다.)


댓글


데헷넷45신중7.png

연락하기

아주 킹아

데헷넷25-3-1.png
데헷넷45신중8.png
데헷넷45신중9.png
저조구락부
  • Instagram
  • Facebook

© 2014~2023 데헷이 All Rights Reserved.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