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 대동아회의 회의록 - ⑱ 장징후이와 기자들간의 담화 (1943.11.7)
- 데헷쟝
- 3일 전
- 5분 분량
* [연재] 대동아회의 회의록은 1943년 작성된 대동아회의의사속기록(大東亞會議議事速記錄, 1943) 을 중심으로 하여 아시아는 하나다 (アジアは一つなり, 1943) 을 비롯한 당대 작성된 대동아회의의 회의내용을 다루는 서적들을 번역하여 대동아회의의 회의록을 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잘 부탁드립니다.

대동아회의 회의록 (大東亞會議會議錄) (1943.11.5~11.6)
(각 항목을 클릭하면 해당 부분을 볼 수 있습니다)
[회의 개최전 정보]
0. 대동아정략지도요강 (1943.5.29)
0. 대동아회의에 관한 건 (1943.10.2)
0. 준비위원회의 구성 (1943.10.21)
0. 대동아회의 회의장 도면
0. 대동아회의 참가자 명단 및 대동아회의 사무국 구성 (1943.11)
[회의 1일차](1943.11.5)
1. 대동아회의 개최와 도조 히데키 (일본) 의 연설
2. 왕징웨이 (중화민국 난징국민정부) 의 연설
3. 완 와이타야콘 (타이왕국) 의 연설
4. 장징후이 (만주국) 의 연설
5. 호세 라우렐 (필리핀) 의 연설
6. 바모 (버마국) 의 연설
[회의 2일차](1943.11.6)
7. 대동아공동선언에 대한 제안 및 각국대표들의 의견
8. 장징후이 (만주국) 의 추가 의견
9. 바모 (버마국) 의 추가 의견 (자유인도임시정부에 대한 옹호연설)
10. 찬드라 보스 (자유인도임시정부) 의 연설
11. 도조 히데키 (일본) 의 안다만-니코바르 제도 양도 연설
12. 도조 히데키 (일본) 의 폐회사
13. 왕징웨이 (중화민국 난징국민정부) 의 폐회사
14. 회의 종료후 각국 대표들의 성명 발표
[3일차] (1943.11.7)
15. 왕징웨이와 기자들간의 담화
16. 호세 라우렐과 기자들간의 담화
17. 바모와 기자들간의 담화
18. 장징후이와 기자들간의 담화
19. 완 와이타야콘과 기자들간의 담화
[대동아결집국민대회 (大東亞結集國民大會)](1943.11.7)
20. 도조 히데키 (일본) 의 연설
21. 왕징웨이 (중화민국 난징국민정부) 의 연설
22. 완 와이타야콘 (타이왕국) 의 연설
23. 장징후이 (만주국) 의 연설
24. 호세 라우렐 (필리핀) 의 연설
25. 바모 (버마국) 의 연설
26. 찬드라 보스 (자유인도임시정부) 의 연설
27. 하인리히 게오르크 슈타머 (나치 독일) 의 연설
[부록]
28. 대동아공동선언 전문
29.각국 대표의 소견 발표
30. 왕징웨이 (중화민국 난징국민정부) 의 회의후 감상 / 회견 / 기념방송
31. 대동아회의 일정표

장징후이가 대동아회의 기간 묵었던 숙소인 핫토리 겐조 (服部玄三, 일본의 시계 회사 세이코(SEIKO) 의 2대 사장, ) 의 저택. (세이코의 초대 사장이었던 핫토리 킨타로가 일본의 건축가 다카하시 사다타로(高橋貞太郎) 가 설계하여 1933년 건설했다. 일본의 항복 후 GHQ가 관리하다가 현재는 ‘핫토리 하우스’ 라는 명칭으로 불리며 싱가포르 기업이 소유하고 있다.)
*일본은 회의 참가국 대표마다 별도의 숙소를 제공하였다. 하지만 회의의 개최가 전반적으로 비공개로 진행되었다는점, 보안과 경호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호텔을 비롯한 일반적인 숙소보다는 일본 정부 및 관련 인사가 소유한 곳을 숙소로 제공하였다. 숙소에는 니혼바시의 미츠코시 백화점 앞에 있었던 오사와 국기점(大澤國旗店)에서 제작한 깃발이 걸려 있었다고 전해진다. 참고로 자유인도임시정부 대표였던 찬드라 보스는 도쿄 시바구(芝區) 미타츠나마치 (三田綱町) 의 시부사와 에이이치(澁澤榮一)의 아들 시부사와 케이조 (澁澤敬三) 의 저택을 숙소로 사용했다.
장징후이와 기자들간의 담화
(도쿄 시바구(芝區) 시로카네산코쵸(白金三光町) 핫토리 겐조 (服部玄三) 본저)
별저 응접실 / 오전 8시 40분)

장징후이의 담화문
(1943.11.7 오전 8시 40분)
저는 동아 역사에 새로운 시대를 여는 이번 대동아회의에 참가하기 위해 상경하였고 저는 천황 폐하로부터 배알을 허락받고 대접을 받는 영광을 누릴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천황 폐하의 은혜에 대해 황송하여 감격스러울 따름이며, 이러한 화목한 회의에 참석할 수 있게 되어 너무나 기쁩니다.
세계의 신질서는 모두가 자신의 자리를 얻고 서로를 도우며 공영을 얻어내야만 확립될 수 있는 것입니다. 수백년 동안 동아의 역사는 영미의 침략의 역사였습니다. 영미는 호시탐탐 교활한 방법으로 동아를 자신의 번영의 도구로만 삼고, 계속하여 동아를 잠식하고 끝없이 추구하며 해를 끼치며 대동아를 자신에게 예속시키려 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시도는 날이 가면 갈수록 더욱 노골화되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맹방 일본은 의연하게 궐기하였고, 영미가 수십년간 동아에서 떨쳐왔던 질곡을 한순간에 끊어냈습니다. 그리고 일본은 동아가 본래의 모습을 되찾게 하려 하고 있습니다. 일본은 이 치열한 결전이라는 상황 속에서도 대담하고 솔직하게 동아건설의 이념을 실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본은 중국에서의 치외법권을 폐지하고 조계와 적산(敵産)을 중국에 반환하였으며 최근에는 중일기본조약도 개정하였습니다. 타이 왕국 역시 말라이 4주를 영토로 편입시킬 수 있게 되었으며 버마와 필리핀도 오랜 숙원이었던 독립을 달성했습니다. 나아가 최근에는 자유인도임시정부의 승인을 앞장서서 진행했습니다. 그 결과 동아의 부흥의 서광(曙光)이 비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각국은 새로운 구상과 신념 아래 하나가 되어 대동아건설이 정비되고 있는 이 중요한 시기에 한자리에 모이게 되었습니다. 회의에서 동아 각국 대표들은 대동아의 선언을 당당하게 대내외에 발표하여 서로 공존공영(共存共榮), 독립친화(獨立親和), 문화구통(文化溝通), 경제제휴(經濟提携) 하며 일절의 방해를 극복하고 대동아전쟁을 완수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이렇게 새로운 혈맹들을 얻게 된 것은 정말로 감명스러운 일이며 동아에 또 하나의 새로운 역사를 만든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번 대동아회의의 개최는 천황 폐하의 충렬한 일본 육해군 장병들의 용기와 살신성인하는 일본의 숭고한 정신, 그리고 이를 실천하고자 하는 의지가 없었다면 불가능했던 것입니다. 때문에 진심으로 감사를 표하지 않을 수 없는 것입니다.
우리 만주국은 10년 전 영미의 앞잡이였던 군벌 정권을 타도하고 도의에 기초한 국가를 건설하여 민족협화의 실현을 표방하여 동아 고유의 본색을 부흥시켜 왔습니다. 건국 이래 일본의 원조 속 내외의 모든 장애를 극복하고 오늘날의 흥륭을 이룰 수 있었습니다. 황제 폐하께서는 일만공동방위, 일만일덕일심(日滿一德一心) 의 대의 속에서 궁궐의 건설에 필요한 금속을 헌납하시는 등 누구보다도 일본의 전쟁에 앞장서서 협력의 모범을 보이고 있습니다. 만주국의 4천만 국민은 관민을 막론하고 우리나라의 모든 구리, 철, 석탄, 곡물을 가지고 전력을 강화할 수 있는 물자를 최대한 증강하고 앞장서서 건설에 나서고 있습니다. 지방정부는 신국민의 양성을 위하여 특별한 고려속에서 문화와 교육을 쇄신하고 근면정신을 함양하며 ‘제2기 건설’의 길을 향해 나아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우리 만주국은 전시기간 동안 대동아건설의 거점이자 북쪽의 방벽으로서 노력하며 중대한 사명을 달성하려 하고 있으며 이를 원조해준 일본에 대해 감사의 뜻을 표하는 바입니다. 현재 세계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치열한 결전의 상황에 놓여있습니다. 그리고 이 결전에서 넓은 국토와 풍부한 자원을 가진 동아는 함께 준비되고 융합되어 필승할 것이라는 신념을 가지고 있는 만큼 당당한 승리의 영광이 우리 동아에서 휘황찬란하게 빛날 것임은 분명하다고 생각합니다. 마지막으로 이번 일본 방문을 맞이하여 일본 국민 여러분들의 친절에 대해 일행을 대표하여 감사를 표하며, 일본 국민 여러분의 건투를 기원하는 바입니다.
기자단과 장징후이의 문답
Q : 만주국은 일체화된 일만화(日滿華) 의 대동아전쟁의 병참기지로서 앞으로 어떠한 방책을 생각하고 있는지.
A : 한마디로 말씀드리면, 만주의 농산물을 증산시켜 일본과 북지(北支)의 식량보급원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에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만주국은 지금까지 이 책무를 다하기 위해 힘을 기울여 왔지만, 앞으로는 더욱더 증산을 위한 정책에 노력할 것입니다. 그리고 만주국은 또한 동아의 북방을 수호하는 장벽 역할이라는 중책을 맡고 있는 만큼, 만전의 조치와 준비를 갖추고 있습니다.
Q : 전쟁의 진행에 있어, 일만(日滿) 제휴의 강화에 대해서 어떤 신념을 가지고 있는지.
A : 일만제휴는 더욱더 긴밀해지고 있으며 나아가 일만화(日滿華) 의 관계도 더욱 친밀해지며 3년전에는 일만화공동선언을, 지금은 대동아공동선언을 만들어질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더욱 소통하여 일본과 만주국의 일덕일심(一德一心)의 실현에 힘쓰겠습니다.
Q : 충칭 정권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A : 충칭은 처음에는 항전을 지속하기 위해 영미를 이용해 왔지만 이제는 거꾸로 충칭이 영미에게 부려지면서 일본의 세력을 공격하는 사냥꾼이 되어버렸습니다. 때문에 충칭은 지금 항일의 의의를 완전히 상실했습니다. 우리 만주국은 국민정부가 하루라도 빨리 중국의 통일을 완성하여 충칭을 제거하는 것이 중국민중을 구원하는 유일한 길이라 믿으며 중국의 부흥을 간절히 바라고 있습니다. 저는 일만화 삼국이 일체화된 체제를 확립하고 삼국관계를 완전히 조정할 수 있다면 대동아전쟁의 문제 대부분은 해결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Q : 인도 문제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A : 인도에는 독립을 위해 많은 지사분들이 분투하고 있습니다. 이번 전쟁을 계기로 찬드라 보스씨가 이끄는 자유인도임시정부가 인도를 이끌어 장차 완전한 독립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하는 바입니다.
(탁상에 있는 담배 한 개비를 집어들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