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연재] 대동아회의 회의록 - ㉓ 바모와 도조 히데키의 회담 (1943.11.8)

표지.
대동아회의 회의록 (大東亞會議會議錄) (1943.11.5~11.6)

(각 항목을 클릭하면 해당 부분을 볼 수 있습니다)

[회의 개최전 정보]

0. 대동아정략지도요강 (1943.5.29)

0. 대동아회의에 관한 건 (1943.10.2)

0. 대동아회의 개최결정에 대한 각국의 반응 (1943.10.4~10.15)

0. 대동아공동선언의 작성과정 (1943.7~ 10)

0. 대동아공동선언안에 대한 각국의 반응 (1943.10)

0. 준비위원회의 구성 (1943.10.21)

0. 대동아회의 회의장 도면

0. 대동아회의 개최에 대한 선전 실시요강 (1943.10.29)

0. 정보국 발표 (1943.11.1) / 대동아회의 참가자 명단 

0. 대동아회의 사무국 구성 (1943.11)

[회의 1일차](1943.11.5)

1. 대동아회의 개최와 도조 히데키 (일본) 의 연설

2. 왕징웨이 (중화민국 난징국민정부) 의 연설

3. 완 와이타야콘 (타이왕국) 의 연설

4. 장징후이 (만주국) 의 연설

5. 호세 라우렐 (필리핀) 의 연설
6. 바모 (버마국) 의 연설

[회의 2일차](1943.11.6)

7. 대동아공동선언에 대한 제안 및 각국대표들의 의견

8. 장징후이 (만주국) 의 추가 의견

9. 바모 (버마국) 의 추가 의견 (자유인도임시정부에 대한 옹호연설)

10. 찬드라 보스 (자유인도임시정부) 의 연설

11. 도조 히데키 (일본) 의 안다만-니코바르 제도 양도 연설

12. 도조 히데키 (일본) 의 폐회사

13. 왕징웨이 (중화민국 난징국민정부) 의 폐회사

14. 회의 종료후 각국 대표들의 성명 발표

[3일차] (1943.11.7)

15. 왕징웨이와 기자들간의 담화

16. 호세 라우렐과 기자들간의 담화

17. 바모와 기자들간의 담화

18. 장징후이와 기자들간의 담화

19. 완 와이타야콘과 기자들간의 담화

[대동아결집국민대회 (大東亞結集國民大會)](1943.11.7)

20. 도조 히데키 (일본) 의 연설

20. 왕징웨이 (중화민국 난징국민정부) 의 연설

20. 완 와이타야콘 (타이왕국) 의 연설

20. 장징후이 (만주국) 의 연설

20. 호세 라우렐 (필리핀) 의 연설

20. 바모 (버마국) 의 연설

20. 찬드라 보스 (자유인도임시정부) 의 연설

20. 하인리히 게오르크 슈타머 (나치 독일) 의 연설


[대동아회의 그 이후]
21. 대동아회의 및 대동아공동선언에 관한 선전 실시 개황 (1943.11.18.)

22. 왕징웨이의 대동아회의 종료후 기자회견 / 기념방송

23. 바모와 도조 히데키의 회담 (1943.11.8)

24. 호세 라우렐과 도조 히데키의 회담 (1943.11.10)

25. 완 와이타야콘의 귀국 인사 (1943.11.12)

26. 찬드라 보스와 도조 히데키의 회담 (1943.11.13)

27. 호세 라우렐의 필리핀 국회 연설 (1943.11.25)

[부록]

28. 대동아공동선언 전문

29. 대동아회의 일정표

바모 (Ba Maw) 당시 버마국 내각총리대신의 사진.
바모 (Ba Maw) 당시 버마국 내각총리대신. 그와 도조 히데키는 대동아회의 이후 별도로 회담을 진행했다. 바모는 이자리에서 일본의 행동들이 부당함을 명확하게 밝히기도 했다.
바모 – 도조 히데키간 회담
(1943.11.08. / 총리관저 소객간(小客間) 귀소)

(당시 바모는 감기기운이 있었으며 (발열은 없었음) 이에 대해 도조 히데키는 건강과 쾌차를 기원하였고 이에 바모는 감사의 뜻을 표했음)

     

도조 히데키 : 각하의 귀국편에 대해서는 현재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바모 : 후의(厚意)에 깊은 감사를 표합니다.

     

도조 히데키 : 국사가 다망한 와중에도 이렇게 회의에 참가해주신 것에 대해 감사를 표하는 바입니다. 대동아회의를 통해서 각방면에서 의견을 교환하고 의견의 일치를 보게 된 것은 이후의 공동사명의 수행에도 몹시 큰 기여를 한다고 생각하는 바로 실로 경사스러운 일이라 생각합니다.

     

바모 : 저는 처음부터 의견의 일치가 이루어질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도조 히데키 : 저도 같은뜻입니다. 이에 더해 한마디 드리자면, 이번에 각하께서 버마국을 대표하시어 이번에 방문하시게 된 이유는, 이번의 회의가 행정의 최고장관 회의이기 때문으로, 각하께서는 이번에는 행정의 최고장관으로서 방문하신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언제 기회가 된다면, 행정최고장관이 아닌 국가대표로서 다시 한번 일본을 방문해주시기를 바라는 바입니다. 저는 이러한 기회가 가까운 시기에 실현되기를 기대하는 바입니다.

     

바모 : 후의(厚意)에 깊은 감사를 표합니다. 이 기회에, 저는 회담 개최중에 제안드렸던것처럼, 어떠한 형식으로든 중앙기관을 설치하여 대동아의 공동사명을 달성하기 위한 방안을 협의하고 정보를 교환하는 등의 조치를 요청하려 합니다.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도조 히데키 : 방금 주신 의견에 대해 고려해보겠습니다. 또한 만주국 대표의 제안도 고려하여 연구하도록 하려 합니다. 위의 제안에 대해서 한마디 드리자면, 우선 현재 도쿄에 주재하고 있는 버마국 대사를 통하여 알린 바가 있습니다만, 일본에는 말씀하신 것과 같은 일을 하는 기관으로서 대동아성이라는 기관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대동아성은 대동아 여러 국가를 종래의 외국과 같이 인식하지 않고 같은 피가 흐르는 형제로서 교류하고 있습니다. 즉, 손님의 취급을 하는 것이 아니라 육친(肉親) 의 관계로서 보살펴야한다는 생각속에서 대동아성은 탄생하게 된 것입니다. 아무쪼록 이를 고려해주시길 바랍니다.


대동아성을 다르게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친한 동료에게 우리는 동료가 집의 현관에 찾아왔을 때 동료로 하여금 벨을 누르고 정중하게 명함을 꺼내는게 하지 않습니다. 우리 스스로도 이럴 땐 문앞까지 찾아가서 정중하게 인사를 하지 않습니다. 즉, 격식을 차리라고 하지 않습니다. 언제, 어떤때가 되었든 편하게 방문하게 하고 우리도 편하게 그들을 맞이합니다. 대동아성이 그렇습니다. 대동아성과 대동아 각국의 관계는 이와 같은 방식이라 할 수 있습니다. 따뜻하면서도 타인에게 예의를 갖추고 있는 것입니다.

     

반대로 대동아 밖의 국가와 외교를 진행할 땐 자주독립 존중의 원칙을 비롯한 여러 원칙 아래 외교를 진행해야 합니다. 이를 달리 말하면 대동아성과 같이 동료와 같은 친근한 관계는 아닌 관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즉, 친한 동료로 하여금 편하게 우리집으로 오게 할 때는 필요가 없었던 정중한 격식을 차려야 하는 것입니다. 때문에 이 경우에는 외무성이 이러한 임무를 수행합니다. 따라서 서양인에게는 대동아성의 행보는 이해될 수 없는 것입니다.

     

바모 : 유희있는 말 잘 경청했습니다. 현재 버마국은 전쟁 수행에 협력하는 것 외에는, 아무것도 고려하지 않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전쟁 수행에는 수많은 고난이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말씀해주신 바를 생각하면서 계속하여 매진하도록 하겠습니다.

     

도조 히데키 : 감사합니다.

     

바모 : 버마국은 이번에 협력대신을 수행원의 일원으로서 배치하였고 전쟁수행의 협력을 위하여 협력성을 설치하였습니다. 따라서 다사다망한 가운데 죄송하지만, 여기서 저의 희망사항을 말씀드리려 합니다. 여기서는 윤곽에 대해서만 말씀드리려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협력대신으로 하여금 대동아성에 연락하여 전달하게 하려합니다.

     

도조 히데키 : 그러시죠.

     

바모 : 각하에게 부탁드리고자 하는 내용은 3가지입니다. 첫 번째는 버마정부와 일본군간의 전쟁수행에 협력에 관한 내용이고, 두 번째는 버마국 정부에 파견해주었으면 하는 고문 및 전문 지도자에 관한 내용이며, 세 번째는 버마국의 국민의 긴급 수요 물자에 대한 내용입니다.

     

첫 번째 내용의 경우 현재 원만하게 실행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는 일부 상층부의 입장에서 보았을 때나 그런 것으로, 바라건대 이 원만한 관계가 국가총력전을 견지하고 모든 계급 및 모든 이들에게 미치기를 바라는 바입니다. 이를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버마국 정부와 일본군 사이의 협의기관을 설치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이는 일본군의 기밀에 접촉하기 위한 것이 아닙니다. 최근의 일을 예로 들자면, 최근 일본측은 버마국 정부에 사전연락없이 주요 도로의 교통을 금지시켜 문제가 되었습니다. 이와 같은 문제는 사전에 버마국 정부에게 연락만 되었어도 원만하게 해결될 수 있는 문제였습니다. 협의기관은 이와 같은 역할을 하기 위한 기관이라 할 수 있습니다.

     

협의기관의 부의사항에 대해서는, 기관이 최대한 광범위한 역할을 할 수 있기를 희망하는 바입니다. 군사기밀 관계상, 부의사항의 결정과정에서 군으로 하여금 군의 독자적인 입장 속에서 결정하게 하는 것도 물론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부의사항의 결정과정에서 적어도 사전에 가능한 한 저에게 정보를 전달해주길 요청하는 바입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현재의 고난을 완화하고 원만하게 유효한 전쟁협력을 가능하게 하기를 염원하는 바입니다.

     

또한 검열의 문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싱가포르(원문에는 쇼난(昭南) 이라는 당시 일본에서 사용하던 명칭이 사용되었다.)  등에서 행해지고 있는 언론검열정책을 그대로 실행하는 것은 저의 입장에서는 매우 곤란한 것중 하나입니다. 인도인은 버마의 현재 상황에 대해 아주 큰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버마국내의 움직임에 대해서도 매우 주의깊게 살펴보고 있습니다. 이점은 분위기가 변화하고 있다는 뜻으로서, 일본의 대 인도정책이 충분히 고려대상이 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식량에 대해 살펴보면, 평소 버마국의 쌀 생산량은 약 4백만 톤 가랑이었습니다. 하지만 내년의 생산 예측은 약 250만톤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부족의 원인은 일본군에 의한 사역(事役) 에 농민이 동원되기 때문이며 또한 농사에 사용되는 소를 징발하였기 때문으로, 이 역시 사전에 버마국 정부에게 사전에 연락하였다면 군의 수요를 충족시키면서도 쌀 생산을 떨어트리지 않을 방책도 가능했을 것입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서는 일본군이 현지 정책을 적절하게 처리할 필요가 있으며 이 역시 버마국 정부와 일본군간의 협의기관이 있다면 이러한 문제를 원만하게 해결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도조 히데키 : 이렇게 이야기를 통하여 많은 정보를 알게 되었습니다. 그 중에는 저도 처음 듣는 정보도, 기탄(忌憚) 스러운 일도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는 앞으로의 방책 결정에 있어 큰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이러한 도움을 주셔서 기쁨을 느끼는 바입니다. 이야기 해주신 내용은 버마가 독립한 이후에 점차 해결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일본군의 입장에서는 어쩔 수 없는 부분도 존재합니다. 또한 부모의 마음을 자식은 모른다는 말도 떠오릅니다. 게다가 버마에 대한 적들의 반격은 점점 거세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해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들을 알고 이러한 문제들이 야기하는 문제점을 인정하고 이를 시급하되 충분히 조절하게 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라 생각합니다. 협의기관의 설치에 대해서는 지극히 강구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통하여 다시 원활한 협력관계가 구성되기를 크게 기대하는 바입니다. 이에 대해서는 현지 군 및 대사와 우선 상담한 이후 설치가 가능한지를 살펴보고 중앙에서 현지에 지시하게 하려 합니다. 또한 저는 현지에 계신 각하께, 일본군 사령관 및 대사 간의 정례 비공식 회담을 제안드리려 합니다. 이러한 제안이 각하의 간절함을 만족시킬 수 있기를 바라는 바입니다. 물론 이러한 협의기관의 건도, 회의의 건도 각하께서 제안하셨다는 것은 변함없다고 생각합니다.

     

말씀해주신 교통문제, 검열문제, 식량문제에 대해서는, 전쟁 목적의 달성이라는 관점 속에서 이를 처리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버마국 정부가 일본군 및 대사 사이에서 결정을 내려야 한다고 봅니다. 물론 대사에게도, 군에게도 중앙에서 잘 전달하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이 기회에 한가지 말씀드리고 싶은 것이 있습니다. 이런 중대한 시기에는, 관대한 마음으로, 큰 관점에서 현재의 상황을 봐주셨음 합니다. 굳이 비유를 하자면, 근처의 이웃들이 서로를 동지로 생각하고 사이좋게 지낸다면, 이웃의 아이들 역시 사이좋게 지내게 될 것입니다. 물론 때때로 아이들은 싸울 때도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때 어른들이 관대하게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다면 이후 아이들 역시 다시 좋은 관계를 되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바모 : 당연한 말씀이십니다.

     

도조 히데키 : 형제도 싸울때가 있습니다. 요컨대 마음을 알고 있는 친한 사이에서도 싸움은 일어나기 마련입니다.

     

바모 : 여러 가지 비유를 사용해 설명해주시니 귀에 속속 들어올뿐더러, 각하에게 친근함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비유는 전쟁협력을 어떻게 다시 원활하게 할 수 있을까에 대한 고려에서 비롯된 것이라 생각됩니다. 협의기관의 문제에 대해서는, 귀국 후 현지에서 신속하게 상담하며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다시 한번 말씀드리지만, 버마의 민정에 대한 문제에 대해 국가주석으로서 저의 이야기를 들어주신 것에 대해 감사를 표하는 바입니다.

     

도조 히데키 : 감사합니다. 버마 현지의 군사령관은 잘 알고 있는이로, 군사령관에게 솔직하게 말해 두겠습니다. 현지의 풍속, 습관에 익숙하지 않은 만큼, 많은 문제가 일어나곤 합니다. 이점에 대해서는 주의를 요하게 하겠습니다. 그 외의 점에 대해서는 각하로부터 현지군에게 연락을 취해주시기 바랍니다.

     

바모 : 최근에 일어난 일로, 군으로 하여금 정치범의 검속(檢束)을 행한적이 있습니다. 그중에는 버마인도 있었습니다, 때문에 국무대신을 비롯한 이들도 비판하고 있는 사건입니다. 본 사건에 대해서, 저에게는 어떠한 사전 연락도 없었습니다. 국무대신에게 전달 받은 바로는, 국가주석인 제가 이러한 문제를 우선적으로 아는 것은 당연하다고 하였으며 특히 의외인점은 헌병의 하급 장교가 저를 방문하여 본 사건에 대하여 저의 방침을 질문한 적이 있었습니다. 저는 원수로서 위 장교에게 응수(應酬) 하며 이러한 방문은 적합한 것이 아니며, 회답할 용의도 없다는 요지의 뜻을 전달하여 떠나게 하였습니다. 이 사건에 대해 가까운 시기에 군사령관으로 하여금 이 문제에 대한 해결을 촉구하려 합니다.

     

도조 히데키 : 처음 듣는 이야기입니다. 들은 범위에서만 판단하자면, 진실로 동감하는 바입니다.

     

바모 : 위와 같은 일의 발생은 저의 입장을 곤란하게 하는 건 물론, 버마 민중의 관점에서 볼 때도, 저의 지위를 우습게 할 뿐입니다. 이렇게 원수로서의 저에게 신뢰를 주지 않고, 전혀 연락을 하지 않고 일을 벌이는 것은 원수로서 매우 곤란한 입장에 처하게 하는 일입니다.

     

도조 히데키 : 이와 같은 일에 대해서는, 대사 및 사령관에게 솔직하게 말해두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저부터 주의하겠습니다. 기본적으로 일본 정부는 각하를 하나부터 열까지 신뢰하고 있습니다. 이점에 대해서는 절대 걱정 안하셔도 됩니다. 헌병과의 문제에 대해서는, 헌병이 버마에 황군이 진격했을 당시의 인식을 여전히 하고 있기 때문이라 생각합니다. 이 역시 바꾸어내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각하가 군사령관의 명령을 듣고, 행정부장관의 생각에서 탈피하지 못하는 것 역시 각하의 지위에 곤란한 것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각하가 원수이시자 내각총리대신이신 각하가 이런 모습을 보이는 것은 우리들이 보았을 땐 하급자들에게 유감으로 여겨질 것이며 아직 추구해서는 안된다고 생각됩니다.

     

바모 : 다음으로, 두 번째 쟁점인 일본인 고문 및 전문지도자에 대해선, 군사령관과 협의해본 결과, 중앙에서 일단 결정되어야 한다는 이야기가 있었으며, 대사와도 상담해본 결과, 대사는 중앙에서 결정되어야 한다면서도 극력 지원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습니다. 최고고문에 대해서는 제가 개인적으로 일반적으로 상담할 수 있는 이여야 하며, 지혜를 빌릴 수 있는 사람이기를 소망하는 바입니다. 그 외의 고문의 경우에는, 최고고문의 의견을 듣고 정하도록 하겠습니다.

     

도조 히데키 : 각하는 의중에 두신 인물이 있으십니까?

     

바모 : 아직 의중에 둔 인물은 없습니다만, 소망하는 사람은 국제관계에 밝고 군과도 관계가 좋은 사람이면 좋겠습니다.

     

도조 히데키 : 본건에 관해서는 일단 알겠습니다. 인물의 선발은 가능하다면 각하가 도쿄에 계실 때 결정하도록 하려 합니다. 그리고 이에 대해 충분히 연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선발할 인물은 버마국의 국내 국정경영에서 각하 스스로가 극히 능력을 가지고 감독할 수 있도록, 일본과의 관계를 최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인물의 선발과정에서 중점으로 두려 합니다.

     

바모 : 좋습니다.

     

도조 히데키 : 이를 위해서는 유망한 인물이 좋겠습니다. 또한 각하의 의도와 맞는, 버마국과 현지 일본기관과 관계를 조절할 수 있는 인물이면 좋겠습니다. 사쿠라이(櫻井) (바모가 대동아회의 기간동안 묵었던 숙소의 주인인 사쿠라이 효고로(櫻井兵五郞)를 의미하는 것이다. 당시 15군 사령관이었던 그는 이후 버마군정기관최고정치고문으로 활동한다.) 씨와 같은 인물은 어떻습니까?

     

바모 : 사쿠라이씨 같은 사람은 최고로 소망하는 바입니다. 그는 버마에 대한 공감도 있으며 유능한 인물이며, 군과의 관계도 좋은 인물이니만큼 소망하는 바입니다. 그 외에도 기획, 교통, 식량에 대해서도 3명의 고문이 필요합니다. 이에 대해서는 최고의 고려를 해보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전문지도자를 필요로합니다. 이에 대해서는 현지군과 협의하려 합니다. 고문 및 전문지도자의 임명에 대해서는 버마 정부의 승인 및 동의가 있어야 한다는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는 점을 말씀드립니다.

     

도조 히데키 : 그건 당연한 것입니다. 고문 및 전문지도자는 버마국 정부의 직원이기 때문입니다.

     

바모 : 3번째 쟁점인 물자의 문제에 대해서는, 상세한 사항은 대동아성을 통하여 연락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후 오랜기간에 걸친 회담에 대하여 바모는 감사의 뜻을 표명하였고 당시 다낭에서 일어난 비행기 사고에 대해 안타까움을 표했다.)

댓글


데헷넷45신중7.png

연락하기

아주 킹아

데헷넷25-3-1.png
데헷넷45신중8.png
데헷넷45신중9.png
저조구락부
  • Instagram
  • Facebook

© 2014~2023 데헷이 All Rights Reserved.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