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 대동아회의 회의록 - ⓪ 정보국 발표 (1943.11.1) / 대동아회의 참가자 명단
- 데헷쟝

- 10월 26일
- 3분 분량
* [연재] 대동아회의 회의록은 1943년 작성된 대동아회의의사속기록(大東亞會議議事速記錄, 1943) 을 중심으로 하여 아시아는 하나다 (アジアは一つなり, 1943) 을 비롯한 당대 작성된 대동아회의의 회의내용을 다루는 서적들을 번역하여 대동아회의의 회의록을 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잘 부탁드립니다.
대동아회의 회의록 (大東亞會議會議錄) (1943.11.5~11.6)
(각 항목을 클릭하면 해당 부분을 볼 수 있습니다)
[회의 개최전 정보]
0. 대동아정략지도요강 (1943.5.29)
0. 대동아회의에 관한 건 (1943.10.2)
0. 대동아회의 개최결정에 대한 각국의 반응 (1943.10.4~10.15)
0. 대동아공동선언의 작성과정 (1943.7~ 10)
0. 대동아공동선언안에 대한 각국의 반응 (1943.10)
0. 준비위원회의 구성 (1943.10.21)
0. 대동아회의 회의장 도면
0. 대동아회의 개최에 대한 선전 실시요강 (1943.10.29)
0. 정보국 발표 (1943.11.1) / 대동아회의 참가자 명단
0. 대동아회의 사무국 구성 (1943.11)
[회의 1일차](1943.11.5)
1. 대동아회의 개최와 도조 히데키 (일본) 의 연설
2. 왕징웨이 (중화민국 난징국민정부) 의 연설
3. 완 와이타야콘 (타이왕국) 의 연설
4. 장징후이 (만주국) 의 연설
5. 호세 라우렐 (필리핀) 의 연설
6. 바모 (버마국) 의 연설
[회의 2일차](1943.11.6)
7. 대동아공동선언에 대한 제안 및 각국대표들의 의견
8. 장징후이 (만주국) 의 추가 의견
9. 바모 (버마국) 의 추가 의견 (자유인도임시정부에 대한 옹호연설)
10. 찬드라 보스 (자유인도임시정부) 의 연설
11. 도조 히데키 (일본) 의 안다만-니코바르 제도 양도 연설
12. 도조 히데키 (일본) 의 폐회사
13. 왕징웨이 (중화민국 난징국민정부) 의 폐회사
14. 회의 종료후 각국 대표들의 성명 발표
[3일차] (1943.11.7)
15. 왕징웨이와 기자들간의 담화
16. 호세 라우렐과 기자들간의 담화
17. 바모와 기자들간의 담화
18. 장징후이와 기자들간의 담화
19. 완 와이타야콘과 기자들간의 담화
[대동아결집국민대회 (大東亞結集國民大會)](1943.11.7)
20. 도조 히데키 (일본) 의 연설
21. 왕징웨이 (중화민국 난징국민정부) 의 연설
22. 완 와이타야콘 (타이왕국) 의 연설
23. 장징후이 (만주국) 의 연설
24. 호세 라우렐 (필리핀) 의 연설
25. 바모 (버마국) 의 연설
26. 찬드라 보스 (자유인도임시정부) 의 연설
27. 하인리히 게오르크 슈타머 (나치 독일) 의 연설
[부록]
28. 대동아공동선언 전문
29.각국 대표의 소견 발표
30. 왕징웨이 (중화민국 난징국민정부) 의 회의후 감상 / 회견 / 기념방송
31. 대동아회의 일정표정보국 발표
(1943.11.1.)대동아각국은 선린우호, 상호협력의 강고한 기초에 서서 공동의 목적 달성에 매진하고 각국 대표자간에 있어서 대동아전쟁 완수와 대동아건설의 방침에 관한 격의없는 협의를 완수하기 위해 이번에 일본, 중화민국, 타이 왕국, 만주국, 필리핀 공화국 및 버마국을 비롯한 대동아각국의 대표자를 상회(相會) 하고 도쿄에서 대동아회의를 개최하기로 하였다.
또한 이회의에는 우연히 도쿄를 방문중인 자유인도정부의 대표자도 배석할 예정이다. 각국대표 및 열석자, 배석자 명단은 다음과 같다.
일본국
내각총리대신 도조 히데키 (東條英機)
해군대신 시마다 시게타로 (嶋田繁太郎)
대동아대신 아오키 카즈오 (青木一男)
외무대신 시게미쓰 마모루 (重光葵)
내각서기관장 호시노 나오키 (星野直樹)
정보국 총재 아모우 에이지 (天羽英二)
외무차관 마츠모토 슌이치 (松本俊一)
대동아차관 야마모토 쿠마이치 (山本熊一)
외무성 정무국장 카미무라 신이치 (上村伸一)
육군성 군무국장 사토 겐료 (佐藤賢了)
해군성 군무국장 오카 타카즈미 (岡敬純)
대동아성 총무국장 타케우치 신페이 (竹內新平)
중화민국
국민정부행정원원장 왕징웨이 (汪精衛)
국민정부행정원부원장 저우포하이 (周佛海)
국민정부외교부부장 추민이 (楮民誼)
국민정부군사위원회위원 천창주 (陳昌祖)
국민정부행정원비서장 저우룽샹 (周隆庠)
국민정부행정원부비서장 쉬펑위안 (薛逢元)
타이 왕국
내각총리대신대리 완 와이타야콘 (Wan Waithayakon)
무임소대신,외무대리대신겸 내각서기관장겸 육군소위 차이 바라트 바트센 (Chai Bratay Pasen)
외무차관 시트트 시트트 사야무칸 (sitt sitt sayamkhan)
외무성동방정무국장 위수크 안타유크 (Wisut Antayuk)
외무성 1등서기관 윙사누와싯 테와쿵 (Wongsanuwasit Tewakung)
육군소좌 아아시 치란싱 (Aasi Charansingh)
만주국
국무총리대신 장징후이 (張景惠)
외무부대신 리샤오겅 (李紹庚)
특명전권대신 왕운칭 (王允卿)
외교부 정무국장 오오키라 아키라 (大江晃)
총무청 비서관 마츠모토 마사오 (松本益雄)
총무청 비서관 가오피쿤 (高丕琨)
외교부 이사관 정투카이 (鄭隤凱)
필리핀 공화국
대통령 호세 라우렐 (José P. Laurel) 대통령
외무대신 클라로 레토 (Claro M. Recto) 외무대신
국회의장 퀸틴 파레데스 (Quintín Paredes) 토목교통대신
대통령비서 겸 국회의원 호세 라우렐 주니어 (José P. Laurel .Jr)
버마국
내각총리대신 바모 (Ba Maw)
협력대신 툰앙 (Tun Aung)
특명전권대사 테몬 (Te Moun)
외무차관 조에 보 (Joe Bow)
내각총리대신비서 니온한 (Nion han)
내각총리대신비서 겸 육군대좌 보욘나이 (Bo yun Nai)
자유인도임시정부
내각총리대신 찬드라 보스 (Subhas Chandra Bose)
최고사령부참모장 자가나흐 본스레 (J. K. Bhonsle)
무임소각료 겸 서기관장 사하이 (Sahai)
최고사령부 중좌 라줄 (Razule)
비서관 핫산 (Hassan)



![[연재] 대동아회의 회의록 - ㉕ 완 와이타야콘의 귀국 인사 (1943.11.12)](https://static.wixstatic.com/media/00f48f_01ab40eb536847bba407cbf8a1589044~mv2.jpg/v1/fill/w_980,h_644,al_c,q_85,usm_0.66_1.00_0.01,enc_avif,quality_auto/00f48f_01ab40eb536847bba407cbf8a1589044~mv2.jpg)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