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재] 대동아회의 회의록 - ㉔ 호세 라우렐과 도조 히데키의 회담 (1943.11.10)
- 데헷쟝

- 58분 전
- 5분 분량

대동아회의 회의록 (大東亞會議會議錄) (1943.11.5~11.6)
(각 항목을 클릭하면 해당 부분을 볼 수 있습니다)
[회의 개최전 정보]
0. 대동아정략지도요강 (1943.5.29)
0. 대동아회의에 관한 건 (1943.10.2)
0. 대동아회의 개최결정에 대한 각국의 반응 (1943.10.4~10.15)
0. 대동아공동선언의 작성과정 (1943.7~ 10)
0. 대동아공동선언안에 대한 각국의 반응 (1943.10)
0. 준비위원회의 구성 (1943.10.21)
0. 대동아회의 회의장 도면
0. 대동아회의 개최에 대한 선전 실시요강 (1943.10.29)
0. 정보국 발표 (1943.11.1) / 대동아회의 참가자 명단
0. 대동아회의 사무국 구성 (1943.11)
[회의 1일차](1943.11.5)
1. 대동아회의 개최와 도조 히데키 (일본) 의 연설
2. 왕징웨이 (중화민국 난징국민정부) 의 연설
3. 완 와이타야콘 (타이왕국) 의 연설
4. 장징후이 (만주국) 의 연설
5. 호세 라우렐 (필리핀) 의 연설
6. 바모 (버마국) 의 연설
[회의 2일차](1943.11.6)
7. 대동아공동선언에 대한 제안 및 각국대표들의 의견
8. 장징후이 (만주국) 의 추가 의견
9. 바모 (버마국) 의 추가 의견 (자유인도임시정부에 대한 옹호연설)
10. 찬드라 보스 (자유인도임시정부) 의 연설
11. 도조 히데키 (일본) 의 안다만-니코바르 제도 양도 연설
12. 도조 히데키 (일본) 의 폐회사
13. 왕징웨이 (중화민국 난징국민정부) 의 폐회사
14. 회의 종료후 각국 대표들의 성명 발표
[3일차] (1943.11.7)
15. 왕징웨이와 기자들간의 담화
16. 호세 라우렐과 기자들간의 담화
17. 바모와 기자들간의 담화
18. 장징후이와 기자들간의 담화
19. 완 와이타야콘과 기자들간의 담화
[대동아결집국민대회 (大東亞結集國民大會)](1943.11.7)
20. 도조 히데키 (일본) 의 연설
20. 왕징웨이 (중화민국 난징국민정부) 의 연설
20. 완 와이타야콘 (타이왕국) 의 연설
20. 장징후이 (만주국) 의 연설
20. 호세 라우렐 (필리핀) 의 연설
20. 바모 (버마국) 의 연설
20. 찬드라 보스 (자유인도임시정부) 의 연설
20. 하인리히 게오르크 슈타머 (나치 독일) 의 연설
[대동아회의 그 이후]
21. 대동아회의 및 대동아공동선언에 관한 선전 실시 개황 (1943.11.18.)
22. 왕징웨이의 대동아회의 종료후 기자회견 / 기념방송
23. 바모와 도조 히데키의 회담 (1943.11.8)
24. 호세 라우렐과 도조 히데키의 회담 (1943.11.10)
25. 완 와이타야콘의 귀국 인사 (1943.11.12)
26. 찬드라 보스와 도조 히데키의 회담 (1943.11.13)
27. 호세 라우렐의 필리핀 국회 연설 (1943.11.25)
[부록]
28. 대동아공동선언 전문
29. 대동아회의 일정표호세 라우렐 – 도조 히데키간 회담 요지
(1943.11.10. 오후 4시 15분~ 오후 5시 10분, 총리관저 소객간(小客間))
◎ 호세 라우렐의 발언 요지
12일 귀국할 예정임. 필리핀 독립이라는 이번 기회에 일본정부의 필리핀 정부에 대하여 표해주신 수없는 호의와 방문중 일행에 대해 베풀어주신 친절에 대해 하여 진심으로 감사를 표함. 또한 최근 남태평양에서의 대전과에 대해 축하를 표하는 바임.
귀국 후에는 대동아공동선언의 요지를 의회에서 표명하는 것과 동시에 이를 실행하여 민중의 철저한 개조를 이끌어 낼것임.
도조 총리 각하의 허락을 얻어 필리핀 국내 사정에 대해 보고하면서 쿠로다(黑田) 최고 사령관, 와치(和智) 참모장 (구로다 시게노리(黒田重徳) 당시 14군 사령관을 의미.) 및 무라타(村田) (무라타 쇼우조 (村田省蔵) 당시 필리핀 대사를 의미. 무라타는 태평양전쟁이 끝날 때 까지 필리핀 대사를 역임했다.) 대사등을 언급하면서 위대한 군인, 정치가를 파견해준 것에 대하여 감사를 표하며 이를 통하여 필리핀 정부와 일본정부간의 관계는 현재 더욱 돈독해지게 되었음.
대통령에 취임한지 얼마되지 않았으나, 귀국 후에는 대동아회의에서 결정된 공동선언의 정신에 따라 임할 것임. 책임을 가지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려 함. 이를 위하여 2~3가지 정도 논의하고 싶은 바가 있음.
일본인 고문 및 전문지도관의 파견에 대한건.
대사관을 통하여 이전에 전달받은 내용을 보면, 일본 측의 안은 총수 220명 가량을 파견할 것을 안에 담았으나, 필리핀 정부의 입장에서는 솔직히 이에 대해 이견이 존재함. 농업, 공업, 재정경제의 전문부분에 대해서는 현재 파견의 내용이 다뤄지지 않았는데, 이 방면에서는 일본의 전문가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나, 정치부분에 대해서는 자신있게 일본의 고문은 필요없다고 생각하는 바임. 이와 같은 중요한 시기에 이러한 행동은 필리핀을 괴뢰정부로 보이게 하는 나쁜 인상을 줄 위험성이 존재함.
필리핀의 치안에 관한건.
치안의 확보를 위하여 출발전에 군사령관 및 대사와 협의하여 근본적 문제에 대한 요해(了解)를 얻게 되었음. 즉, 대통령으로 하여금 대사령(大赦令)을 공표하여 아직 산지에서 일본의 진의를 알지 못하는 필리핀 동포들에게 귀순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와 관련하여 2~3개월의 기간동안 군의 군사행동을 정지하여 귀순을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요해를 도출하였음. 이를 통하여 치안의 회복도, 한층 더 진보하게 되어 필리핀도 생산증강에 만진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함.
국가 지도자로서의 진두지휘에 관한건.
자신은 신체의 위험등은 염려하고 있지 않음. 민중과 직접 접하여 정부의 뜻을 전달하고 치안의 확보를 위하여 노력할 생각임. 때문에 대단히 송구하나 요구사항이 존재함. 이는 즉, 대통령 및 필리핀 정부용의 비행기 1기와 배 1척을 소망하는 것으로, 이를 소망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음. 필리핀은 제도가 많아 해당 지역들을 시찰하기 위해서는 비행기가 필요함. 또한 비행기로 갈 수 없는 곳을 방문하기 위해서 배가 필요함.
지금의 상황에서는 총리 각하로부터 비행기를 기증받으려고 함. 이는 송구하기 짝이 없는 일로, 필리핀으로서는 일방적으로 호의를 제공받기만 하고 있으며, 자신 스스로도 이러한 상황에 책임이 없다고 할 수는 없음. 이에 대해서는 송구할 뿐임.게다가 이전부터 필리핀에 대해 일본이 보여준 태도를 생각하면 부끄러울 뿐임.
지방시찰을 위하여, 필리핀 권내에 각지 군관들과 회견을 하기 위하여 2개월간 자본금을 준비해줄 것.
귀국에 임하면서, 다시 한번 일본에 대한 충성을 표하는 바임, 또한 각하에게는 이러한 다사다망한 시기에 아무쪼록 건강에 유의하시길 바람. 이는 대동아를 위해서도 중요한 것임을 유념해주시길 바람.
◎ 도조 히데키의 발언요지
라우렐 대통령의 대동아회의에 대한 협력과 참가에 대해 경의를 표하며 건강을 기원함.
일본은 대동아회의에서 결정된 대동아공동선언의 정신을 끝까지 이루기 위하여 방책에 있어 공동선언의 이러한 내용들을 반영하려하고 있음.
이 기회를 맞이하여 특별히 한마디 하자면, 이번 기회에 행정부의 최고장관 자격으로서, 각하의 방문을 맞이하게 된 것에 대해 감사를 표하며 가까운 시기에 다시 한번 대통령의 자격으로서, 국가 원수의 자격으로서 방문해주시기를 기대하고 있음.
각하가 최고군사령관 및 대사와 긴밀하게 연락하고 있는 것에 대해서는 이를 승인하며 오히려 기쁘게 생각하고 있음. 하지만, 지금의 220인의 고문 및 전문가의 문제에 대해서는 금시초문임, 언급되고 있는 문제에 대해 일본은 현재 고문 및 전문가를 파견할 의도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필리핀에 대해 간섭하려는 의사 모두 가지고 있지 않음. 또한 필리핀 공화국의 요구가 있을때만 파견할 것임. 각하는 필리핀 공화국 원수이신 만큼, 본건에 대한 결정을 다시 한번 살펴보시고 충분한 검토 후에 필요한 인원을 요구해주시길 바람.
치안에 확립에 대해서는, 이야기하신 것처럼, 군과 대책을 세우고 대응하여 하루라도 빨리 이를 완성하고 생산의 증강을 할 수 있기를 바람. 때문에 치안을 제1의 우선순위로 할 필요가 있음.
말씀하신 대사령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방법적으로는 현지군과의 격의없는 의견을 교환 후 행해져야 한다고 생각함. 저로선 특히 만의 있는 의견의 교환이 이루어져야한다는 점을 강조드리는 바임.
대통령 전용 비행기 1대에 대해서는 최대한 빠르게 대통령 취임의 축하기념으로서 전달하려 할 것. 배에 대해서는 해군 대신과 협의하여 최대한 빠르게 이에 대해 논의해보도록 하겠음.
비행기의 조종사 및 보관에 대해서는, 군이 담당하는 것으로 하고 또한 일본인 비행사를 쓰려 하고 있음. 대통령을 담당하는 조종사는 기술적인 신용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각하 자신에 대해 절대 충성하는 이를 필요로 함. 조종사는 적어도 4년간의 훈련 경험을 요하며, 필리핀인들이 적격하다 생각되는 이를 일본에 이야기하면 훈련을 통하여 충분한 훈련을 하게 한 후 일에 임하게 할 필요가 있음. 또한 각하에 대한 충성에 대한 부분도 고려 해야함. 이는 만일 각하가 적지역에서 납치되는 것과 같은 상황에서 보호하기 위함임. 또한 부품의 교환 및 점검에 대한 문제도 있음. 때문에 각하의 비행기는 군에서 담당하고 일본군의 비행사를 사용하게 하는게 안전하다고 생각됨.
각하께서 시찰을 하시겠다한 부분에 대하여 형제로서 빠르게 이에 조력하겠음. 다만 오지 지역에 대한 시찰은 일절 하지 않는 것이 좋다고 생각함.
자본금에 준비에 대한 건은 2주간의 협의를 통하여 결정하도록 하겠음.
마지막으로, 각하의 건강을 기원하며 이는 필리핀의 장래를 위해서도, 대동아민족을 위해서도 중요한 것이라 생각됨.
각하에게 말씀드렸듯이 이번 일 이 끝난 이후 대통령의 자격으로 다시 한번 일본을 방문해주시기를 희망하는 바임.



![[연재] 대동아회의 회의록 - ㉕ 완 와이타야콘의 귀국 인사 (1943.11.12)](https://static.wixstatic.com/media/00f48f_01ab40eb536847bba407cbf8a1589044~mv2.jpg/v1/fill/w_980,h_644,al_c,q_85,usm_0.66_1.00_0.01,enc_avif,quality_auto/00f48f_01ab40eb536847bba407cbf8a1589044~mv2.jpg)





댓글